국제역사
컬링은 16세기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되었다. 한 예로 스포츠와 관련해 처음으로 1511년이라고 연도가 새겨진 String Stone이 발견되었으며 그 후 스코틀랜드에서 이 운동을 ‘컬링’이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그와 때를 같이 하여 네델란드에서는 화가인 Piter Bruegel과 Jacob Grimmer의 작품에 이 운동이 묘사되었다. 18세기 초에는 컬링의 역사가 뚜렷이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컬링규칙이나 클럽의 조직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1716년 Kilsyth의 컬링선수들은 클럽을 조직하였고 스코틀랜드의 중심지역에서도 클럽이 연이어 생기기 시작하였다. 최초의 경기용 Stone은 경기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돌이면 일정한 규격에 관계없이 사용하였다. 그 당시 Stone은 일정한 모양, 크기, 무게의 기준 및 손잡이가 없으므로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기 위해 돌에 구멍을 내어 사용하였다. 1775년 금속 손잡이가 달린 원형 Stone이 보편화 되고 1838년 Royal Caledonian Club이 만들어지면서 화강암 스톤의 규격과 모형이 표준화되었다.
국내역사
한국에 있어서의 컬링 역사는 1994년 1월 쌍방울그룹에서 대한컬링경기 연맹(초대회장 공천섭)을 창설하였고, 그해 4월 세계연맹에 가입함과 동시에 세계연맹 지도자초청강습회를 목동아이스링크에서 개최하였다. 이후 매년 3-4회의 강습회와 전국 컬링 대회를 개최하여 컬링의 보급에 힘써 왔고 해외전지훈련 및 국제경기대회에도 꾸준히 참가하여 국내외적으로도 크게 그 활동을 인정받아 1996년 대한체육회 정가맹단체가 되었다. 한국 컬링인구는 매년 약 2배씩 증가하여 2003년 등록선수는 약 500명이고, 동호인을 포함 하여 2000명이 넘게 되었다.
한편 한국의 휠체어 컬링 역사를 살펴 보면 “스포츠를 통하여, 장애우의 눈은 높이고, 비장애인의 마음은 넓혀 모두가 함께 “우리”가 되어 어울려 사는 사회를 만들기”라는 취지하에 휠체어 농구팀을 후원하던 강원 장애인 스포츠 후원회의 이영희 이사가 2002년 12월 2010년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한IOC 현지 실사에 장애인올림픽 부분 발표 준비 과정 중 대한 컬링 연맹 관계자들과 휠체어컬링 보급 방안 협의하였고, 2003년 4월 강원 장애인 스포츠 후원회 운영위원회에서 클럽 창단 및 운영 지원 결의한 것이 그 첫걸음이 되었다. 그 후 강원 장애인 스포츠 후원회 소속의 강원드림 스포츠단 선수 중 9명이 강원도 도청팀에서 기술 및 장비 지원하여 춘천의 의암 빙상장에서 2003년 5월부터 매주 2회 훈련 시작하였으며, 2003년 8월 23일 국내 첫 휠체어 컬링클럽을 창단 하였다. 한편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휠체어컬링은 World Curling Federation에서 ‘Disabled Curling Project’라는 분야로 주관하고 있다. 따라서 독립적인 행정 조직을 갖추지 못하였던 한국의 휠체어컬링도 2003년도부터 2006년 까지 한국컬링경기 연맹의 한 분과로 행정과 경기진행 지원을 받아 2003년 11월 회장배 대회때 첫 정식 국내 경기를 개최하였으며, 이후 세 차례의 세계선수권대회 참가와 네 차례의 동계체전 등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면서 한국 장애인 컬링 발전의 기초를 다졌다.